“주 35시간만 일해도 충분해요” 근무시간 확 줄인 신의직장 TOP 3 기업비교
8,749
주 적정 근무 시간이 어느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벨기에, 칠레, 프랑스 등 외국에서는 최근 ‘주 35시간제’, ‘주 4일제’를 적극 도입하며 워라밸 향상에 힘쓰고 있다고 하는데요.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가 일반적인 한국에서도 파격적인 근무제도에 도전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 근무 시간 35시간’을 보장하고 있는 기업을 소개해 드릴게요!
주 4일제 + 재택 + 탄력근무제! 엔돌핀 커넥트 🐬
(사진출처=엔돌핀커넥트)
엔돌핀커넥트는 2021년 설립된 신규 게임 스타트업인데요. 1년 만에 ‘달고나 마스터’, ‘어글리후드’ 등 하이퍼 캐주얼 게임을 18개나 출시하며 급성장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게임 제작사인 만큼 직원들도 행복하게 일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근무 시간을 확 줄였다고 합니다.
엔돌핀커넥트는 금요일까지 출근하면 토, 일, 월 이렇게 3일을 연달아 쉬는 주 4일제를 시행하고 있어요. 현재는 하루 9시간 근무로 주 36시간 근무지만 앞으로 제도가 정착된다면 향후 일 8시간 주 32시간 근무로 줄이고 쉬는 요일도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이라고 해요.
이외에도 회의 등 중요한 일정이 없다면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재택근무를 시행할 경우, 사무실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이 줄어드는데 이렇게 절약된 비용은 다시 구성원들을 위해 사용한다고 합니다. 거기다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탄력근무제도 운영하고 있으니 시간을 자유롭게 관리하고 싶은 분은 관심 갖고 지원해 보면 어떨까요?
10시 출근하는 공공기관이 있다? 코리아 경기도 🍬
(사진출처=판교 테크노벨리 스타트업 캠퍼스)
코리아경기도는 경기도와 중소기업 연합회 등 다양한 지역 경제 단체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배달 특급’, ‘시흥 꿈 상회’ 등을 운영하고 중소기업의 마케팅, 홈쇼핑 방송 등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공공기관 최초로 주 35시간 제도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코리아 경기도는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여 주 35시간 제도를 완성했는데요. 기존 9시 출근, 6시 퇴근에서 출근 시간을 1시간 미뤄 10시 출근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직원들은 출근 시간이 1시간 미뤄졌을 뿐인데 차도 안 밀리고 여유 시간이 배로 생긴 느낌이라고 언급했어요.
코리아 경기도는 이외에도 창립기념일 휴무, 반반 차 사용, 장기근속 휴가 등 다양한 휴가제도를 갖추고 있어요. 또한, 점심 식사를 제공하고 자기 계발비, 도서 구입비, 복지포인트 등 금전적 지원 제도도 잘 갖춰져 있다고 하네요. 혁신적인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싶다면 한번 지원해보면 어떨까요?
현직자들도 인정하는 주 35시간 유연근무제의 표본, 스토어링크 🔥
(사진출처 = 스토어링크)
스토어링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스타트업으로 온라인 판매자를 위한 퍼포먼스 마케팅 플랫폼 ‘스토어링크’를 운영하고 있어요. 지난해 매출이 152억 원을 돌파했고, 2년 간 무려 1069%의 성장한 그야말로 쾌속 질주 중인 기업인데요.
스토어링크는 현직자들이 “진짜 유연근무제”라고 칭찬할 정도로 자유로운 근무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 주 35시간 내에서 자율 재택, 자율 출퇴근이 얼마든지 가능하고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은 문화의 날로 팀원들끼리 모여 동호회를 즐기는 등 여유롭게 시간을 보낸다고 해요.
이외에도 리프레쉬가 필요할 땐 언제든 제주도에서 워케이션이 가능해요. 회사에서 제주도에 별장을 보유하고 있고 차량도 지원해준다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점심은 법인 카드로, 교육이나 성장에 필요한 게 있다면 얼마든지 구매 가능하다고 합니다.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꼭 맞는 회사가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