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채용에서는 대체로 두 가지의 필기전형단계를 통해 ‘일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1차에서는 직장 생활을 위해 필요한 핵심(Core)능력을 평가합니다. 이를 NCS직업기초능력이라고 합니다.
2차에서는 선택한 직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직무능력을 평가합니다. 이를 NCS직무수행능력이라고 하며,
기관에 따라 직무별로 자체 문항을 평가하거나 기사 수준의 전공시험으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직장에서 일을 잘 하기 위해 대부분의 산업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핵심능력으로 10가지의 영역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 중 실제 필기 전형에서는 기관이나 채용 직군에 따라 5~10가지 영역에 대해 평가하게 됩니다.
기관예시 | 직무예시 | 검사영역 |
---|---|---|
산업인력공단 | 회계 |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직업윤리 |
한국인터넷진흥원 | 기술분야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
한국철도공사 | 사무영업 |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조직이해능력 |
NCS 직업기초능력평가의 문항은 "직업상황", "기초직업능력", "행동중심"의 세가지 척도를 기준으로 출제됩니다.
1) 직업상황: 산업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직업적 맥락을 예시로 한 문제를 출제 및 평가합니다.
2) 기초직업능력: 기존의 인·적성 검사에서 이루어지던 구직자의 인지(지적)능력의 평가보다는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초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3) 행동중심: 특정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직업인을 가정하여, 가능한 행동 중심의 평가를 실시합니다.
채용 모집분야에 따라, 중요시되는 직업기초능력을 선택하여 활용 가능하며, 대규모 일반공채 시 1차 평가전형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지식측정 위주의 평가가 아닌, 해당기관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을
실제 직무환경에서 어떻게 발현할 수 있는지를 창의적으로 평가합니다.
※여러 직업기초능력을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출제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기초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합니다.
기업·공공기관에서 필수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다른 영역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며,
4지 선다형 혹은 5지 선다형의 객관식 문항으로 출제합니다.
문제 풀이시간은 1개 문항당 1분 내외로 풀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해당 기업·공공기관의 모집분야 별 직무와 NCS를 비교, 분석하여 선발인원(신규, 경력직)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무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객관적, 타당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지식측정 위주의 평가가 아닌, 해당 기업·공공기관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무수행능력을 실제 직무환경에서 어떻게 발현할 수 있는지를 창의적으로 평가합니다.
※ 직무수행능력평가는 직군(직무)별로 NCS 관련 능력단위에 제시된 지식을 활용하여 출제됩니다.